📌 오늘 학습 키워드
- 변수 / 함수
- 문자열
- 리스트 / 딕셔너리
- 반복문
- f-string
📖 오늘 학습한 내용을 나만의 언어로 정리하기
1. 변수
파이썬에서 새 변수를 만들 때는 변수이름 = 값 의 형태로 쓴다.
출력할 때는 print()를 쓴다.
사용자 입장에서 봤을 때 변수는 '어떤 값을 담는 것'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, 컴퓨터 입장에서 봤을 때는 '값이 담긴 위치를 가리키는 것'이다. 그리고 이것을 '메모리에 담는다'라고 한다.
2. 문자열
문자열임을 구분하기 위해 작은따옴표(')나 큰따옴표(")를 붙여준다.
str() 를 통해 숫자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만들수도 있다.
[문자열을 다루는 몇 가지 방법]
1) 문자열의 길이를 세기 : len()
2) 문자열 자르기
- [:n] 문자열 제일 앞에서부터 n번째까지 자른다.
- [n:] 문자열 제일 뒤에서부터 n번째까지 자른다.
- [n:n] 문자열 n번째부터 n번째까지 자른다.
- split(기준 문자)[n] 기준 문자를 기준으로 나눴을 때 n번째 문자열
3. 리스트
순서가 중요하게 값을 담는 것
리스트는 [ ] 안에 , 로 분리되어 담긴다.
a = [1, 5, 2]
1) 리스트에 값 추가하기 : 리스트 이름.append('문자열')
2) 오름차순으로 정렬하기 : 리스트 이름.sort()
3)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기 : 리스트 이름.sort(reverse=Ture)
4) 특정 값이 리스트에 있는지 확인하기 : ('문자열' in '리스트 이름')
4. 딕셔너리
Key ; Value의 쌍으로 이루어진 자료의 모임
딕셔녀리는 {Key : Value}로 담긴다.
person = {'name' : 'Bob', 'age' : 21}
딕셔너리 안의 내용을 찾을 때는 다음과 같은 함수를 사용한다.
a_dict = {'name' : 'bob', 'age' : 27}
result = a_dict['name']
print(result)
딕셔너리에 내용을 추가할 때는 다음과 같은 함수를 사용한다.
a_dict = {'name' : 'bob', 'age' : 27}
a_dict['height'] = 180
print(a_dict)
5. 반복문
리스트 안에 있는 요소들을 하나씩 꺼내서 써먹는 것
* 여기에서 fruit는 임의로 정한 변수 이름으로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다.
* 변수의 이름과 리스트/딕셔너리의 이름은 단수-복수 관계로 설정해주는 것을 권장한다.
people = [
{'name': 'bob', 'age': 20},
{'name': 'carry', 'age': 38},
{'name': 'john', 'age': 7},
{'name': 'smith', 'age': 17},
]
for person in people:
name = person['name']
age = person['age']
print(name, age)
-----
bob 20
carry 38
john 7
smith 17
6. 함수
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코드들에 이름을 붙여 놓은 것
→ 조건문에 넣을 값을 바꿔가면서 결과를 확인할 때 쓰면 편리하다.
* 'sum'으로 지정되어 있는 이름은 임의로 정한 것으로, 다른 이름으로 변경 가능하다.
<작동 원리>
sum(1,2)를 부르면 1은 a에, 2는 b에 들어간다.
return 1+2, 즉 return 3이 된다.
return을 만나면 result 뒤에 있는 sum(1,2)값이 3으로 변한다.
실습 주민등록번호로 성별 파악하기
check_gender('150101-1012345') 주민등록번호가 def의 pin으로 들어간다.
1) split을 사용하여 '-'를 기준으로 문자열을 나눈다.
2) 나눈 문자열 중 1번째 문자열에서 1번째 글자를 가져온다. [1][:1]
3) 문자열을 숫자 데이터로 변환한다. int()
4) 만약 2로 나눴을 때 나머지가 0이라면 '여성'을 도출한다. 그렇지 않은 경우 '남성'을 도출한다.
7. f-string
현직자와의 커리어 세션
퍼포먼스 마케터 = 성과를 설계하고 조정하는 사람
성과를 보고 원인을 분석하고 다음 전략을 실행하는 사람.
Input 대비 Output을 극대화할 수 있는 사람.
감이 아닌 '데이터'로 말하는 사람
ROAS / CAC / CTR / CVR / 유입경로 / 소재 성능
'내가 잘한 건 무엇이고, 왜 잘된 걸까?' '이 데이터를 보면 우리는 무엇을 바꿔야 할까?'
이러한 질문에 답할 수 있는 사람이 바로 퍼포먼스 마케터이다.
❌ 학습하며 겪었던 문제점 & 에러
- 강의 내용을 이해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렸다. 2~3번 반복해서 내용을 들은 후에 블로그에 나만의 언어로 정리할 수 있었다.
- 괄호와 등호 표시를 쓰는 것들이 헷갈린다.
🎯 내일 학습할 내용
- 강의를 다시 들어보며 기본적인 문법 구조(?)를 잘 익혀서 응용이 가능하도록 기초를 다질 것이다.
'[스파르타 코딩클럽] 부트캠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ySQL Group by, Subquery, Having | 내일배움캠프 25.05.20 (화) TIL (0) | 2025.05.20 |
---|---|
MySQL Group by, Subquery 마스터하기 | 내일배움캠프 25.05.19 (월) TIL (0) | 2025.05.19 |
[내일배움캠프 사전캠프] WIL 2025.05.09 (금) (0) | 2025.05.09 |
[내일배움사전캠프] 25.05.08 (목) (0) | 2025.05.08 |
[내일배움사전캠프] 25.05.07 (수) TIL (0) | 2025.05.07 |